시 조

시 조

 

전 의령보 (前 宜寧譜)에 밀직공(密直公)의 아드님은 혁지(赫) 익지(益)두분만으로 되어 있었으나 1957(丁酉)년 합보시(合譜時)에 효윤공(孝允公)을 삼자(三子)로 하여, 장자(長子)인 혁지공(赫公)은 현손대(玄孫代)에서 절손(絶孫)되어 무후 (無後)하고, 차자(次子)인 익지공(益公)은 두 아드님을 두었는데 둘째인 천명공(天命公) 역시 오대손(五代孫)에서 절손무후(絶孫無後)되고 장자(長子)인 천로공(天老公)이 세아드님을 두었으니

 

m01.png 1. 장(長)이 문하시중(門下侍中) 을번(乙蓄)으로 자손이 가장 많아(전체 남씨의 47% 의령남씨의 80%)

가. 장자(長子) 영의정(領議政)(在)

- 장손(長孫)인 좌의정(左議政) 지(智)의 자손을 충간공파(忠簡公派)

- 차손(次孫)인 직제학(直提學) 간(簡)의 자손을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 계손(季孫)인 의산위(宜山尉) 휘(暉)의 자손을 의산위공파(宜山尉公派) 라 이르는데

 

장자인 충간공파(忠簡公派)와 차자인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자손이 의령남씨의 과반수를 차지하여

. 충간공파는 감사(監司) 부정(副正) 간성(杆城) 별좌(別坐) 참의(參議) 각 파로

. 직제학공파는 감찰(監察) 목사(牧使) 호군(護軍) 군수(郡守) 각 파로 호칭하게 되었고

. 부정공파(副正公派)는 아드님이신 삭령공(朔寧公 諱 )이하 7형제분이 병참공(兵參公 諱 世雄), 부사공(府使公 諱 世衡), 군수공(郡守公 諱 世枰), 이판공(吏判公 諱 世準), 병절교위공(秉節校尉公 諱 世則), 예판공(禮判公 諱 世健), 인천부사공(仁川府使公 諱 世彦)을 이루면서, 후손 중에 정승 1명, 판서 10명, 참판 12명, 관찰사 4명, 충신 3명등을 배출하였다.

 

나. 차자(次子) 판상서사 (判尙書事)(誾)

- 장자(長子)인 상호군(上護軍) 경수(景壽)는 무후(無後)하고

- 차자(次予) 병조판서(兵曹判書) 경우(景祐)의 자손을 안호공파(安胡公派)

- 삼자(三子) 판사(判事) 경복(景福)의 자손을 판사공파(判事公派)

- 사자(四子) 부정(副正) 경지(景祉)의 자손을 부정공파(副正公派)

- 오자(五子) 경선(景善)의 자손은 그 수가 극소하여 별로 파를 형성하지 못하였음.

 

다. 삼자(三子)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實) 자손도 숫자가 작아 통칭 (通稱) 보문각제학공파(寶文閣提學公派)로 통하고

라. 사자(四子) 우상절제사(右廂節制使)(贄) 증손(曾孫)대에서 절손되었음.

 

m01.png (仲)이 문하부사(門下府事) 을진(乙珍)으로

가. 장자(長子)인 정랑(正郎) 근(瑾)의 자손은 정랑공파(正郎公派)

나. 차자 (次子)인 목사(牧使) 이(珥)의 자손은 목사공파(牧使公派)

다. 삼자(三子)인 사간(司諫) 규(珪)의 자손은 사간공파(司諫公派)를 이루었고

 

m01.png 계씨(季氏) 좌찬성(左贊成) 을경(乙敬) 자손은 그 수가 의령남씨의 1%에 불과하여 총칭(總稱) 좌찬성공파(左贊成公派)로 통한다.

또한, 밀직공(密直公)의 삼자(三子)인 판도판서(判圖判書) 효윤공(孝允公)은 증손(曾孫) 좌시공(佐時公)에 이르러 심(深) 혼(渾) 두 아드님을 두었는데

1. 심(深)공의 장자(長子) 상명(尙明) 자손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외

2. 혼(渾)공의 장자(長子) 상치(尙治) 자손 쌍청헌공파(雙淸軒公派)만이 있어

- 총합(總合)하여 양정공파(良靖公派)를 이루고 있다.